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어린이(for 주린이)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채권편(1)

by #*%&$*@ 2022. 2. 3.
반응형

채권

  1. 채권이란
    1. 채권이란 돈을 빌리면서 언제까지 돈을 상환하겠다고용증서
    2. 채권은 발행하는 자에 따라 국채, 회사채, 사채 나뉜다. 국채는 국가에 발행한다는 의미이다.

채권의 3요소

  1. 액면가, 이자율, 만기일
    1. A와 B라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A는 1000만 원이 필요해서 B에게 1000만 원을 빌리고 10년 동안 10%의 이자를 주겠다는 채권을 발행했다.
    2. 액면가는 1000만 원이라는 원금을 말하며 이자율은 10%, 만기일은 빌린 날로부터 10년 뒤 상환하겠다는 것을 말한다.
    3. 하지만 채권을 발행할 때 두 가지 정해지는 것이 있다. 고정금리와 중도해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10%라는 금리가 10년 동안 고정이 된다.
    4.  두 가지 때문에 채권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액면가인 1000만 원으로 다른 사람에게 팔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할인율이 붙은 시장가(가격 변동)로 거래된다. 이것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채권 금리와 가격 관계

  1. 금리가 오르격은 낮아진다.
    1. 국채 금리가 10%일 때 발행된 액면가 1000만 원, 10년 만기 채권이 있다고 가정하자. 1000만 원을 빌려준 B는 10년 뒤 원금 1000만 원에 이자 1000만 원,  2000만 원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 수익을 계산할 수 있다.
    2. 하지만 만약 그 채권이 발행된 후 5년 뒤 20% 금리를 가진 채권이 발행되면 어떻겠는가? 사람들이 10% 이자를 주는 채권은 사지 않고 20% 이자를 주는 채권을 사려고 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갑자기 B가 급하게 돈이 필요해졌다고 해보자. 채권은 중도해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A에게 돈을 갚으라고 할 수 없다. 그러면 액면가 1000만 원인 채권을 할인해서 팔아야지만 사람들이 살 것이다.
    3. 위를 다시 정리하면 채권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게 된다.
  2. 금리가 내려가 상승한다.
    1. 이번에 반대 상황도 살펴보자. 다시 국채 금리가 10%일 때 발행된 액면가 1000만 원, 10년 만기 채권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번에 10년 뒤 B의 예상 수익은 원금 1000만 원 + 이자 1000만 원으로 동일하다.
    2. 하지만 5년 뒤 5% 금리를 가진 채권이 발행되면 어떻게 될까? 새로 발행된 채권을 사면 예상 수익은 원금 1000만 원 + 이자 500만 원이다. 사람들이 다 B가 가지고 있는 채권으로 사려고 할 것이다.
    3. 위를 정리하면 채권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오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