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어린이(for 주린이)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1)

by #*%&$*@ 2022. 2. 5.
반응형

금리란

  1.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지불해야 하는 이자율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 돈의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금리가 높다는 것은 바꿔 말해 돈의 값이 비싸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돈의 값이 비싸니 돈을 빌릴 때 더 많은 이자를 줘야 하는 것인데 이것을 어렵게 말하면 ”금리가 높다."라는 것이다.

금리

  1. 금리는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기준 금리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시장 금리로 나눠지는데 먼저 기준 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2. 기준 금리
    1. 정부가 몇%로 기준을 정하고 그 정한 금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금리를 말한다.
    2.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1%로 기준 금리를 정했는데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해보자. 그러면 돈의 입장에서는 돈의 수요가 증가한 것이다. 너도 나도 사려고 하면 어떻게 되는가? 값이 올라간다. 다시 말해 돈의 값이 올라가게 되고 바꿔 말해 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이다. 그러면 금리는 1.1% 이렇게 올라갈 것이다. 그러면 중앙은행이 화폐를 발행하여 돈을 공급해 주는 것이다. 그러면 다시 금리는 1%로 내려올 것이다. 이렇게 중앙은행이 나서서 금리를 1%로 유지하게 된다.
    3. 하지만 중앙은행이 발행했다고 하더라도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가 없다면 아무도 그 돈을 인정해 주지 않게 될 것이다. 중앙은행은 어떻게 신뢰를 바탕으로 한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느냐? 그것은 중앙은행은 초단기 국채를 담보로 화폐를 발행하기 때문이다. 위에 말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차근차근 살펴보자.
    4. 먼저 초단기 국채라는 것은 한국 기준 7일 만기 국채이다. 한국 정부가 돈을 빌리고 일주일 뒤 돈을 갚겠다고 약속을 하고 채권을 발행한다. 이것이 7일 만기 국채인데 7일 뒤 한국이라는 나라가 망할 가능성이 있을까? 현실적으로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신뢰라는 것이 형성이 된다. 다음은 담보는 무엇이냐? 내가 만약 7일 만기 국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7일 뒤 나는 빌려준 돈을 받을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자산이다.
    5. 7 만기 국채를 한국 중앙은행이 많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중앙은행은 많은산을 보유하고 있다. 산을 담보로 화폐행하는 것이다. 렵게 느껴 말을 다시 보 이해가 것이다.
    6. 한국 중앙은행은 7일 만기 국채를 담보로 화폐를 발행하며 미국 중앙은행(Fed)는 1일 만기 국채를 담보로 화폐를 발행한다. 초단기 국채를 담보로 화폐를 발행하는 것이 원칙이며 나중에 알아볼 양적완화라는 것은 장기 국채를 담보로 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금리

  1. 시장 금리는 초단기 금리를 제외한 모든 금리를 시장 금리라고 하며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