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항공지식/구술대비2 QNE, QNH, QFE QNH, QNE, QFE, Transition Altitude, Transition Level 1. QNH 전이고도 미만에서 고도계가 진고도(True Altitude)를 지시하도록 100nm 내에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기압치를 Setting하는 것 MSL을 기준으로 한다. 2. QNE 전이고도 이상에서 고도계가 기압고도(Pressure Altitude)를 지시하도록 29.92inHg(1013.2hpa)로 Setting하는 것 3. QFE Airport Reference Point에 있을 때 고도계가 0을 지시하는 기압치로 Setting하는 것으로 AGL을 기준으로 한다. 4. Transition Altitude QNH Setting유지해야 하는 가장 높은 고도로서 Transition Altit.. 2024. 2. 23. MDA, DA, DDA 1. MDA(Minimum Descent Altitude) 1. 비정밀접근 or Circling Approach에서 사용되며 시각참조물없이 더 아래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지정된 고도 2. 시각참조물 확보없이는 절대 아래로 내려가면 안됨 3. 시각참조물 미확보 시 MDA에서 Level Flight를 하며 MAP까지 진행 후 Missed Approach 실시 2. DA(Decision Altitude) 1. 정밀접근에 사용되며 시각참조물없이 더 아래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지정된 고도 2. DA에서 Decision을 내리기 때문에 DA가 MAP로 사용되며 DA에서 Go-Around시 DA보다 약간 내려가는 것은 허용됨 3. DDA(Derived DA) 1. 비정밀접근 Straight - In Approach을 C.. 2024. 2.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