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18

환율 상승시 주식 시장에 좋을까?(환율 공부)(2) 달러 강세, 원화 약세 환율 상승하면 외국인이 주식을 팔고 해외로 자금을 가지고 나간다. 원 달러 환율이 1200원 넘어가고 있다. 이것을 환율이 상승하고 있다고도 하며 달러가 강세이고 원화가 약세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달러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고 상대적으로 원화의 가치는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알아보고 가장 관심이 있는 한국 주식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자. 환율 상승시 좋은 점 & 안 좋은 점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에 좋다. 우리나라는 무역 흑자를 꾸준히 내고 있는 나라이다. 다시 말해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다. 환율이 상승하면 왜 수출에 좋을까? 삼성에서 100만 원짜리 TV를 생산해서 미국에 수출한다고 가정해 보자. 원 달러 환율이 1000원일.. 2022. 4. 13.
장단기 금리 역전은 투자의 위험 신호? 장단기 금리 역전은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장단기 금리 역전은 1970년 후부터 6차례 발생했는데 6차례 모두 3개월~33개월 내 경제 침체가 찾아왔고 주식 시장이 폭락하는 사태가 벌어졌었다. 그만큼 경제 침체를 알려주는 중요한 시그널이라고 볼 수 있다. 아래 표는 장단기 금리 차를 나타낸다. 0이면 장단기 금리가 같다는 것이고 -로 내려가면 금리가 역전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단기 금리 역전이란 단기 금리(미국 국채 2년물)가 장기 금리(미국 국채 10년물)보다 높을 때를 말한다. 단기 금리가 높은데 왜?라고 생각할 수 있으니 차근차근 알아보자. 은행에 가서 대출을 한다고 해보자. A 사람은 1000만 원을 2년 뒤에 갚겠다고 했고 B 사람은 1000만 원을 10년 뒤에 갚겠다고 한다. 은행 입장에서.. 2022. 4. 5.
요즘 환율이 왜 계속 오르나?(환율 공부)(1) 환율이 뭘까? A와 B 두 나라가 있다고 해보자. A 나라는 화폐를 조금만 발행했고 B 나라는 화폐를 엄청 많이 발행했다고 하자. A 나라에 사는 사람이 B 나라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A 나라 화폐를 B 나라 화폐로 교환하려고 하는데 1:1로 교환하면 어떻겠는가? 불공평해 보이지 않나? B 나라 화폐는 엄청 흔하고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A 나라 화폐 하나에 B 나라 화폐 두세 개는 줘야 할 것이다.이것이 환율이다. 서로 다른 화폐를 교환하기 위한 비율을 환율이라고 한다. 원달러 환율 변동 달러 대 원화의 교환 비율을 원 달러 환율이라고 한다. 그러면 환율은 어떤 상황에서 변하게 될까? 1달러당 환율이 1000원이라고 하고 우리나라에 투자하고 싶은 외국인들이 많다고 상상해 보자. 외국인들이 달.. 2022. 4. 2.
고물가 시대 주식시장은 어떤 흐름일까?(2) 1970년대 고물가 시대 워렌 버핏이 가족들에게 남긴 말 : 만약 내가 죽으면 S&P500을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라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전제를 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를 알아보자. 1970년대는 현재와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고 저번 글에서 다루었으니까 이번에는 1970년대 주식 시장은 어땠는지 같이 알아보자. S&P 500은 어땠을까? 1979년 이란혁명으로 인해 유가가 치솟기 시작할 때 미국은 금리 인상을 시작했다. 현재 미국 연준 또한 금리 인상 사이클을 시작하였으므로 1979년을 기준으로 5년간(1979년~1984년) S&P 500의 상승률은 67% 정도 된다. S&P 500의 연평균 상승률은 대략 10% 정도인데 10%씩 5년간 상승하면 61% 상승한다.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면 1.. 2022.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