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어린이(for 주린이)

요즘 환율이 왜 계속 오르나?(환율 공부)(1)

by #*%&$*@ 2022. 4. 2.
반응형

환율이 뭘까?

  • A와 B 두 나라가 있다고 해보자. A 나라는 화폐를 조금만 발행했고 B 나라는 화폐를 엄청 많이 발행했다고 하자. A 나라에 사는 사람이 B 나라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A 나라 화폐를 B 나라 화폐로 교환하려고 하는데 1:1로 교환하면 어떻겠는가? 불공평해 보이지 않나? B 나라 화폐는 엄청 흔하고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A 나라 화폐 하나에 B 나라 화폐 두세 개는 줘야 할 것이다.
    이것이 환율이다. 서로 다른 화폐를 교환하기 위한 비율을 환율이라고 한다.

원달러 환율 변동

  • 달러 대 원화의 교환 비율을 원 달러 환율이라고 한다. 그러면 환율은 어떤 상황에서 변하게 될까? 1달러당 환율이 1000원이라고 하고 우리나라에 투자하고 싶은 외국인들이 많다고 상상해 보자. 외국인들이 달러를 가지고 우리나라에 올 것이다. 가지고 온 달러를 원화로 환전한 후에 원하는 곳에 투자를 하게 될 것이다. 이때 외국인들이 해외에서 달러를 우리나라에 가져오게 되면 우리나라 내 달러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즉 달러가 흔해지고 원화는 비교적 귀해지게 되는 것이다. 달러가 흔해지니 1000원은 있어야 1달러를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500원만 있어도 1달러를 살 수 있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 환율이 하락하여 1달러당 환율이 500원이 된 것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더 이상 우리나라에 투자할 곳이 없어진 외국인은 가지고 있던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서 해외로 갔다고 하자. 이럴 경우 달러가 귀해지니 환율은 2000원이 되는 것이다.
  • 두 번째로 우리나라가 수출을 잘해서 달러를 벌어올 때를 생각해 보자. 우리나라에 달러가 많아지게 되고 흔해진다는 것이다. 1000원이던 원 달러 환율이 500원이 될 것이다.
  • 마지막으로 금리가 인상될 때 환율은 변하게 된다. 금리는 돈의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금리가 올라간다는 것은 돈의 값이 비싸졌다고 해석하면 된다는 것이다. 한국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한다고 하자. 그러면 시중에 원화량 이 감소하게 될 것이며 그만큼 원화가 귀해진다는 것이다. 달러량은 그대로인데 원화량 이 줄어들었으니 환율은 변하게 되는 것이다.

환율 상승은엇때문인가?

  • 먼저 Fed준금리를 인상한다고 것이 원인이다. 양적완화로중에 달러가 너무 많아서 인플레이션이생하는 같으니 통화량을 줄이기 위해 기 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이다. 달러가 점점 귀해진다는 것이다. 원화 그대로 인대 달러가 귀해지니 환율이 상승하는 것이다. 1100원이면 1달러를 있었는데 1200원은 줘야 1달러를 있게 것이다.
  • 두 번째 안전자산 선호 심리이다. 최근 주식 시장 급락, 전쟁, 인플레이션 심화,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불안한 요소가 너무 많다 보니 안전자산을 가지려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고 본다. 안전자산에 대표격인 달러를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니 달러가 귀해지게 된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