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경제 어린이(for 주린이)16

환율 상승시 주식 시장에 좋을까?(환율 공부)(2) 달러 강세, 원화 약세 환율 상승하면 외국인이 주식을 팔고 해외로 자금을 가지고 나간다. 원 달러 환율이 1200원 넘어가고 있다. 이것을 환율이 상승하고 있다고도 하며 달러가 강세이고 원화가 약세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달러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고 상대적으로 원화의 가치는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알아보고 가장 관심이 있는 한국 주식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자. 환율 상승시 좋은 점 & 안 좋은 점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에 좋다. 우리나라는 무역 흑자를 꾸준히 내고 있는 나라이다. 다시 말해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다. 환율이 상승하면 왜 수출에 좋을까? 삼성에서 100만 원짜리 TV를 생산해서 미국에 수출한다고 가정해 보자. 원 달러 환율이 1000원일.. 2022. 4. 13.
요즘 환율이 왜 계속 오르나?(환율 공부)(1) 환율이 뭘까? A와 B 두 나라가 있다고 해보자. A 나라는 화폐를 조금만 발행했고 B 나라는 화폐를 엄청 많이 발행했다고 하자. A 나라에 사는 사람이 B 나라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A 나라 화폐를 B 나라 화폐로 교환하려고 하는데 1:1로 교환하면 어떻겠는가? 불공평해 보이지 않나? B 나라 화폐는 엄청 흔하고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A 나라 화폐 하나에 B 나라 화폐 두세 개는 줘야 할 것이다.이것이 환율이다. 서로 다른 화폐를 교환하기 위한 비율을 환율이라고 한다. 원달러 환율 변동 달러 대 원화의 교환 비율을 원 달러 환율이라고 한다. 그러면 환율은 어떤 상황에서 변하게 될까? 1달러당 환율이 1000원이라고 하고 우리나라에 투자하고 싶은 외국인들이 많다고 상상해 보자. 외국인들이 달.. 2022. 4. 2.
고물가 시대 주식시장은 어떤 흐름일까?(2) 1970년대 고물가 시대 워렌 버핏이 가족들에게 남긴 말 : 만약 내가 죽으면 S&P500을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라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전제를 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를 알아보자. 1970년대는 현재와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고 저번 글에서 다루었으니까 이번에는 1970년대 주식 시장은 어땠는지 같이 알아보자. S&P 500은 어땠을까? 1979년 이란혁명으로 인해 유가가 치솟기 시작할 때 미국은 금리 인상을 시작했다. 현재 미국 연준 또한 금리 인상 사이클을 시작하였으므로 1979년을 기준으로 5년간(1979년~1984년) S&P 500의 상승률은 67% 정도 된다. S&P 500의 연평균 상승률은 대략 10% 정도인데 10%씩 5년간 상승하면 61% 상승한다.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면 1.. 2022. 3. 18.
수소경제를 준비하자(feat.고유가)(3) 수소 운송 방법 수소를 만들었으면 사용하는 곳까지 운송을 해야 한다. 기체 수소와 액화 수소의 운반법은 천연가스 운송 법과 똑같기 때문에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해서 설치했던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수소 파이프 라인 수소가 생산되는 곳부터 사용되는 곳까지 긴 파이프라인을 설치하여 기체 수소를 운송하는 체계이다. 한 번씩 길 가다가 도시가스 공사한다고 도로 통제가 있는데 보면 안에 엄청 큰 파이프를 볼 수 있다. 수소도 미래에는 가정에 공급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액화 수소 수소를 영하 253도까지 냉각하면 액화가 되는데 이것을 전용 운송선에 선적하여 장거리를 운반하는 방법으로 LNG 선과 원리는 비슷하다. 하지만 영하 253도를 유지한다는 경제적 어려움이 있어서 암모니아를 운.. 2022.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