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경제 어린이(for 주린이)16

왜 우리가 Fed의 결정에 귀기울여야하나? - FOMC 회의 FOMC 회의가 뭐지? 나는 한국인인데 왜 미국의 중앙은행에 해당하는 Fed가 금리를 내린다, 올린다 하는 FOMC 회의에 귀 기울여야 할까? 일단 FOMC 회의는 간략하게 설명하고 넘어가자. 6주에 한번 Fed를 대표하는 12명이 모여 현재 경제 상황이 어떠하니? 그러니 금리를 올릴까 말까? 회의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미국의 경제 상황이 한국의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미국 경제 상황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먼저 한국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은 무엇일까? 바로 수출이다. 한국은 내수시장이 크다고 볼 수 없다. 그렇기에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다. 그리고 미국에 가장 많이 수출을 한다. 그런데 미국으로 수출을 하려고 하는데 미국 사람들이 사줘야 수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 2022. 2. 9.
인플레이션, 조기 기준 금리 인상이 뭐지? - 기준금리(2) 인플레이션, 조기 기준 금리 인상이 뭐지? 최근 경제 뉴스를 보면 인플레이션이 심해서 테이퍼링 속도를 올리고 조기 기준 금리 인상해야 한다는 뉴스를 볼 수 있다. 인플레이션, 테이퍼링, 기준 금리 인상?? 이 세 개의 상관관계가 무엇이고 이것이 왜 이렇게 중요하기에 주식투자하는 사람들이 주목하는지 알아보자.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이유? 이전 편에서 기준금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앙은행이 필요에 따라 기준 금리를 정하여 그 금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면 여기서 어떤 필요에 따라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할까? 중앙은행의 목표 중앙은행의 목표를 알게 되면 왜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조정하는지 알 수 있다. 첫 번째 목표로 물가 안정과 고용안정이다. 물가가 너무 빠르게 오르지도 않고 천.. 2022. 2. 7.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1) 금리란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지불해야 하는 이자율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 돈의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금리가 높다는 것은 바꿔 말해 돈의 값이 비싸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돈의 값이 비싸니 돈을 빌릴 때 더 많은 이자를 줘야 하는 것인데 이것을 어렵게 말하면 ”금리가 높다."라는 것이다. 기준 금리 금리는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기준 금리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시장 금리로 나눠지는데 먼저 기준 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기준 금리 정부가 몇%로 기준을 정하고 그 정한 금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금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1%로 기준 금리를 정했는데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해보자. 그러면 돈의 입장에서는 돈의 수요가 증가한 것이다. 너도 나도 사려고 하면 어떻게 되는가.. 2022. 2. 5.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채권편(1) 채권 채권이란 채권이란 돈을 빌리면서 언제까지 돈을 상환하겠다고 하는 차용증서 채권은 발행하는 자에 따라 국채, 회사채, 사채로 나뉜다. 국채는 국가에 발행한다는 의미이다. 채권의 3요소 액면가, 이자율, 만기일 A와 B라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A는 1000만 원이 필요해서 B에게 1000만 원을 빌리고 10년 동안 10%의 이자를 주겠다는 채권을 발행했다. 액면가는 1000만 원이라는 원금을 말하며 이자율은 10%, 만기일은 빌린 날로부터 10년 뒤 상환하겠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채권을 발행할 때 두 가지 정해지는 것이 있다. 고정금리와 중도해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10%라는 금리가 10년 동안 고정이 된다. 위 두 가지 때문에 채권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액면가인 1000만 원으로 .. 2022.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