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OMC 회의가 뭐지?
- 나는 한국인인데 왜 미국의 중앙은행에 해당하는 Fed가 금리를 내린다, 올린다 하는 FOMC 회의에 귀 기울여야 할까?
- 일단 FOMC 회의는 간략하게 설명하고 넘어가자. 6주에 한번 Fed를 대표하는 12명이 모여 현재 경제 상황이 어떠하니? 그러니 금리를 올릴까 말까? 회의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미국의 경제 상황이 한국의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미국 경제 상황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 먼저 한국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은 무엇일까? 바로 수출이다. 한국은 내수시장이 크다고 볼 수 없다. 그렇기에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다. 그리고 미국에 가장 많이 수출을 한다. 그런데 미국으로 수출을 하려고 하는데 미국 사람들이 사줘야 수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미국 사람들 먹고살 만해야 한다는 것이다.
- 고정지출비를 제외하고 지출이 가능한 비용을 어려운 말로 가처분 비용이라고 하는데 미국 사람들의 대부분의 가처분 비용은 어디서 나올까? 먹고 살만하려면 일단 월급이 따박따박 나와야 한다. 실업률이 높지 않고 완전 고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 또 주택 담보대출 이자나 기타 대출 이자가 많이 나가면 고정지출비가 늘지 않겠나? 다시 말해 금리가 낮아야 대출 이자를 적게 내고 가처분 비용이 늘어난다.
- 세 번째로 고정지출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생활비가 있다. 예를 들어 먹을 것, 마실 것, 입을 것 등이 있다. 물가가 올라 생활비가 늘어나면 가처분 비용이 줄 것이다.
- 위를 다시 정리하면 미국 사람들은 실업률이 낮고, 기준 금리가 낮고, 물가가 쌀 때 한국의 수출품을 많이 사줄 수 있는 것이고 한국도 돈을 벌 수 있는 것이다.
FOMC 회의에서 알 수 있는 것들
- FOMC 회의가 끝나면 연준 의장이 나와서 FOMC 회의의 결론을 이야기해준다. 새벽 세시 넘어서 시작하지만 주식 투자를 하는 많은 한국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시청도 하고 연준 의장의 말 한마디에 나스닥 지수가 들썩들썩하는 것을 보는 재미도 있다. 어떤 이야기를 하기에 지수가 들썩들썩하고 많은 사람들이 잠을 자지 않고 기다리는 것일까?
- 위의 세 가지 모두를 이야기해준다. 미국 중앙은행의 목표도 완전고용과 물가 안정이다. "현재 고용지표는 어떠하며 물가 상승률은 어떠하니 기준 금리를 동결, 인상, 인하하겠습니다."가 핵심이다.
- Fed의 결정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미국의 경제 상황이 한국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때문이다.
반응형
'경제 > 경제 어린이(for 주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는 무엇인가? (0) | 2022.02.15 |
---|---|
요즘 난리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무엇일까? - 인플레이션(1) (0) | 2022.02.11 |
인플레이션, 조기 기준 금리 인상이 뭐지? - 기준금리(2) (0) | 2022.02.07 |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1) (0) | 2022.02.05 |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채권편(1) (0) | 2022.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