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ed6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는 무엇일까? 양적완화란? 중앙은행이 장기국채를 매입하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이란 경제가 어려울 때 기준 금리 인하를 이용한 경기 부양의 한계에 봉착하였을 때 중앙은행이 장기국채를 매입하여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위의 말이 다 이해가 된다면 아래 내용을 읽을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 이제 차근차근 위에 뜻을 풀어나가보자. 기준 금리 인하를 이용한 경기 부양의 한계 먼저 잠깐 짚고 넘어가자. 중앙은행은 화폐를 발행할 때 초단기 국채를 담보로 화폐를 발행한다고 했다. 그리고 기준 금리를 유지하기 위해 돈을 풀고 빨아들여 유동성을 조절한다. 또 기준금리(초단기 금리)를 제외한 금리를 시장 금리라고 한다. 이 부분이 이해가 안 된다면 금리- 기준금리 쪽을 읽.. 2022. 2. 21. FOMC는 무엇인가? FOMC를 파헤쳐보자 FOMC 소속 17명의 의원 중 12명이 모여 회의를 하고 기준 금리를 결정한다. 이전에 FOMC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FOMC의 결정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자. 한국은 한국중앙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45일마다 회의를 열어 기준 금리를 결정한다. 미국 또한 마찬가지로 미국 중앙은행인 Fed가 FOMC(Federal Opne Market Committee)에서 45일마다 1박2일로 회의를 하여 기준 금리를 결정한다. FOMC 소속 17명의 의원 중 12명이 모여 회의를 하고 기준 금리를 결정한다. Fed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2022년 FOMC 회의 일자가 나와있다. 다음 열린 회의는 3월 15일이다. FOMC에서 발표하는 것들 1박 .. 2022. 2. 15. 요즘 난리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무엇일까? - 인플레이션(1)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왜 이리 난리일까? 뉴스를 보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40년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라는 기사를 자주 접한다. 대충 소비자가 사용하는 물가가 상승했나 보다~ 정도는 알겠는데 이게 왜 이렇게 중요한 것일까?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일반적인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하기 위해 구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물가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옷, 집, 음식, 헤어, 여가생활비 모두 포함된다.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7.5% 상승이 주식에 미치는 영향 2022년 2월에 발표된 1월 미국 CPI 지수는 2021년 1월 대비 7.5% 상승하였다고 한다. 그 충격에 잠깐 반등하는 듯 보이던 나스닥이 다시 하락하였다. 물가지수가 많이 상승하였는데 왜 나스닥은 깜짝 놀라 하락하는 것일까? 그 답은 .. 2022. 2. 11. 왜 우리가 Fed의 결정에 귀기울여야하나? - FOMC 회의 FOMC 회의가 뭐지? 나는 한국인인데 왜 미국의 중앙은행에 해당하는 Fed가 금리를 내린다, 올린다 하는 FOMC 회의에 귀 기울여야 할까? 일단 FOMC 회의는 간략하게 설명하고 넘어가자. 6주에 한번 Fed를 대표하는 12명이 모여 현재 경제 상황이 어떠하니? 그러니 금리를 올릴까 말까? 회의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미국의 경제 상황이 한국의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미국 경제 상황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먼저 한국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은 무엇일까? 바로 수출이다. 한국은 내수시장이 크다고 볼 수 없다. 그렇기에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다. 그리고 미국에 가장 많이 수출을 한다. 그런데 미국으로 수출을 하려고 하는데 미국 사람들이 사줘야 수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 2022. 2.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