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지식/비행이론

항공기 안정성에 대해 - Lateral Stability(5)

by #*%&$*@ 2022. 3. 14.
반응형

Static Lateral Stability ?

  • 일단 Lateral Stability는 Rolling에 대한 항공기 안정성을 말한다. 수평 비행하고 있는 항공기를 상상해 보자. Gust에 의해 순간적으로 Wing Level이었던 항공기가 한쪽 Wing이 올라가면서 Rolling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수직으로 작용하던 Lift가 Down된 Wing 쪽으로 Tilt 된다.
    출처 : Jeppesen JAA ATPL - Principles of Flight
  • Tilt된 Lift에 의해 항공기는 Sideslip이 발생한다. 항공기가 안정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항공기 스스로가 다시 Wing Level로 돌아오려는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를 해야 한다. Positive Static Lateral Stability 도움이 되는 방법을 알아보자.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Principles of Flight

Positive Static Lateral Stability 도움되는 방법

  1. Wing Dihedral(상반각)
    • 상반각이란 항공기의 가로축과 날개가 이루는 각을 말한다. 상반각을 크게 한다는 것은 항공기 날개를 항공기 가로축과 수평 하게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위로 각을 만들어 장착한다는 것인데 이것을 어떻게 Lateral Stability에 도움이 될까 알아보자. 먼저 Gust에 의해 항공기가 Sideslip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출처 : Jeppesen JAA ATPL - Principles of Flight
      그러면 Sideslip 발생한 쪽으로 Relative Airflow 형성이 것이다. Down Wing Dihedral Effect 의해 AOA 크고 Up Wing 상대적으로 작은 AOA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Down Wing 많은 Lift 발생하게 되며 Down Wing 올라오게 되면서 Wing Level 찾아간다.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Principles of Flight
  2. Wing Sweepback
    • 먼저 Sweepback Wing이 무엇인지 짚고 가자. Sweepback Wing 이란 항공기 날개가 직사각형 형태의 네모 모양이 아니라 동체에서 Wing Tip으로 가면서 날개 Chord line이 작아지면서 뒤쪽으로 각을 이루는 형태를 말한다. Wing Sweepback이 왜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자. 다시 Gust에 의해 항공기가 Sideslip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이렇게 되면 Sideslip이 발생한 쪽의 날개에 더 많은 Airflow가 흐른다. 왜냐하면 Sideslip 반대쪽 Wing 앞쪽의 동체 때문에 Airflow가 Wing의 절반 정도 밖에 흐르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Lift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Down된 Wing이 올라오게 된다.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Principles of Flight
  3. High Wing
    • High Wing 이란 동체의 상단에 항공기 날개가 부착된 형태를 말한다. High Wing은 상대적으로 Low Wing보다 Lateral Stability가 크다. 그 이유는 Dihedral Effect와 비슷한데 항공기가 Sideslip이 발생하게 되면 Down된 Wing은 Airflow 정상적으로 흐르지만 Up된 Wing은 동체에 가로막혀 상대적으로 적은 Airflow가 흐르게 되며 여기서 Lift 차이가 발생한다. 이렇게 해서 Down된 Wing이 다시 Wing Level로 돌아오게 된다.
      출처 : Jeppesen JAA ATPL - Principles of Flight
  4. Keel Effect
    • Keel Effect란 Low C.G 상태에서 크게 발생하게 된다. 다시 항공기가 Sideslip이 발생했다고 가정하자. 이렇게 되면 항공기의 동체 부분이 Relative Airflow와 수직을 이루게 된다. Airflow가 항공기 동체를 때리게 되는데 이때 C.G가 아래에 있으면 C.G를 기준으로 ARM이 커지면서 Rolling Moment가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다시 Wing Level이 된다.
      출처 : Jeppesen JAA ATPL - Principles of Fligh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