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3

요즘 핫한 기축통화란 무엇인가? 기축통화가 요즘 왜 핫한가? 기축통화란 전 세계적으로 거래, 결제를 할 때 통용되는 화폐를 말하는 것이다. 최근 대선 후보 토론에서 모 후보의 기축통화에 대한 발언으로 논쟁이 생기면서 기축통화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 원화가 기축통화가 되면 좋은 것이기에 그 발언이 맞느냐 틀리느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말 나온 김에 기축통화가 무엇이며 어떻게 달러화가 기축통화가 되었는지 알아보자. 기축통화가 무엇인지는 조금만 찾아보면 금방 알 수 있다. 기축통화란 전 세계적으로 거래, 결제를 할 때 통용되는 화폐를 말하는 것이다. 달러화가 어떻게 기축통화가 될 수 있었는가? 금본위제라는 것을 들어본 적 있는가? 금을 담보로 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옛날부터 금은 화폐로 사용되었다.그런데 거래를 할 때마다 금을 가지.. 2022. 2. 23.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1) 금리란 금리는 돈을 빌릴 때 지불해야 하는 이자율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 돈의 값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금리가 높다는 것은 바꿔 말해 돈의 값이 비싸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돈의 값이 비싸니 돈을 빌릴 때 더 많은 이자를 줘야 하는 것인데 이것을 어렵게 말하면 ”금리가 높다."라는 것이다. 기준 금리 금리는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기준 금리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시장 금리로 나눠지는데 먼저 기준 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기준 금리 정부가 몇%로 기준을 정하고 그 정한 금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금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1%로 기준 금리를 정했는데 돈을 빌리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해보자. 그러면 돈의 입장에서는 돈의 수요가 증가한 것이다. 너도 나도 사려고 하면 어떻게 되는가.. 2022. 2. 5.
주식 투자 전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for 주린이) - 채권편(1) 채권 채권이란 채권이란 돈을 빌리면서 언제까지 돈을 상환하겠다고 하는 차용증서 채권은 발행하는 자에 따라 국채, 회사채, 사채로 나뉜다. 국채는 국가에 발행한다는 의미이다. 채권의 3요소 액면가, 이자율, 만기일 A와 B라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A는 1000만 원이 필요해서 B에게 1000만 원을 빌리고 10년 동안 10%의 이자를 주겠다는 채권을 발행했다. 액면가는 1000만 원이라는 원금을 말하며 이자율은 10%, 만기일은 빌린 날로부터 10년 뒤 상환하겠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채권을 발행할 때 두 가지 정해지는 것이 있다. 고정금리와 중도해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10%라는 금리가 10년 동안 고정이 된다. 위 두 가지 때문에 채권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액면가인 1000만 원으로 .. 2022.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