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가 상승3 고물가시대는 어떻게 될까?(1970년 오일 쇼크) 과거의 1970년대 고물가시대는 어땠을까? 현재 유가(기름값)가 치솟고 있는데 90불에서 쉬지 않고 110불까지 올라갔다. 유가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원유값이 크게 상승했다. 유가가 상승하면 물건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이 증가하므로 자연스럽게 물가도 같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 물가가 상승하면 Fed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을 가파르게 진행할 수도 있는 상황이며 이렇게 되면 주식시장에 큰 타격을 주고 주가가 휘청할 수도 있다. 이럴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정확한 예측은 신의 영역으로 불가능하겠지만 그 비슷하게 하려고 노력 정도는 해볼 만하다.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한다. 지금과 유사한 상황이 1970년대에도 동일하게 일어났다. 1973년 중동전쟁이 발발하면서 중.. 2022. 3. 4. 최근 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까? 인플레이션은 왜 발생하지? 지금 전세계가 인플레이션 억제에 초점을 맞춰 통화정책을 바꿔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을 알겠는데 그러면 왜 물가가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걸까? 일단 인플레이션의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의 종류부터 알 필요가 있다. 인플레이션의 종류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하는데 차근 차근 살펴보자. 경기가 호황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사람들의 소비가 늘어나게 된다. 물건이 잘 팔리니 회사 입장에서는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늘릴 것이다. 그러면 사람들의 주머니가 더 두둑해지고 소비가 더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면 회사는 투자를 더 늘리고… 이런 선순환 과정이 발생하고 이.. 2022. 2. 17. 인플레이션, 조기 기준 금리 인상이 뭐지? - 기준금리(2) 인플레이션, 조기 기준 금리 인상이 뭐지? 최근 경제 뉴스를 보면 인플레이션이 심해서 테이퍼링 속도를 올리고 조기 기준 금리 인상해야 한다는 뉴스를 볼 수 있다. 인플레이션, 테이퍼링, 기준 금리 인상?? 이 세 개의 상관관계가 무엇이고 이것이 왜 이렇게 중요하기에 주식투자하는 사람들이 주목하는지 알아보자.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이유? 이전 편에서 기준금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앙은행이 필요에 따라 기준 금리를 정하여 그 금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면 여기서 어떤 필요에 따라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할까? 중앙은행의 목표 중앙은행의 목표를 알게 되면 왜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조정하는지 알 수 있다. 첫 번째 목표로 물가 안정과 고용안정이다. 물가가 너무 빠르게 오르지도 않고 천.. 2022. 2.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