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lap이란
- Secondary Flight Control
- Flap
- Spoiler
- Trailing Edge Device
- 플랩(Flap)
- 지금까지는 Primary Flight Control(항공기의 3축에 대해 직접적으로 Flight Control에 관여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다. 직접적이진 않지만 항공기가 비행할 때 도움을 주며 간접적으로 조종에 관여하는 것들이 있다. Flap, Spoiler, Trailing Edge Device, Trim 등이 있는데 이런 것들을 Secondary Flight Control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이번에는 Flap에 대해 알아보자.
- 먼저 Flap은 두 가지 Position이 존재한다. Flap을 Extend(Deflect) 한다는 건 날개로부터 Flap이 아래로 쭈욱 나온 형태 말하고 Flap Neutral 상태는 Flap이 올라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Full Extend와 Neutral 사이인 중간 정도 위치에도 Flap을 둘 수 있는데 항공기 기종별로 조작법은 상이하다.
출처 : Jeppesen JAA ATPL - Principles of Flight - Flap을 Extend 하는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양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Flap을 고 양력장치라고 한다. 양력을 증가시켜야 할 때가 언제인지 생각해 보자. 양력 공식을 배웠으니 잠깐 가져오면 양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했다. 그 말은 속도에 증감 속에 양력은 영향을 많이 받는다. 빠른 속도로 비행하는 순항 중에서는 충분한 양력이 발생한다. 하지만 예를 들어 이륙, 착륙할 때 낮은 속도에서도 비행할 경우 충분한 양력이 발생되지 못한다.
출처 : Jeppesen JAA ATPL - Performance - 이륙할 때를 떠올려보자. 항공기가 활주로 위에서 Power를 Full로 넣으면 서서히 항공기가 움직이며 가속하고 충분한 양력이 발생하면 항공기는 하늘로 떠오른다. 이때 항공기가 가속이 빨리 되면 상관없지만 가속이 느리면 충분히 가속이 될 때까지 항공기는 활주로를 달려야 한다. 이 말은 더 긴 활주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활주로가 무한대로 길면 좋지만 활주로는 한정되어 있다. 이때 Flap을 Extend 하여 양력을 더 많이 발생시키게 되면 활주거리가 짧아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출처 : Jeppesen JAA ATPL - Performance - 이번에는 착륙할 때를 떠올려보자. 착륙할 때 항공기는 속도를 줄이고 천천히 공항에 접근하여 활주로에 착륙한다. 그 이유는 착륙에 필요한 활주로 길이는 줄이기 위해서다. 항공기 속도가 빠를 때를 생각해 보자. 빠른 속도로 온 항공기가 착륙을 위해 활주로에 접지(항공기 Tire가 활주로에 닿을 때)를 했다. 이제 항공기는 활주로 위를 달리면서 멈추기 위해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제동을 시작할 것이다. 속도가 빠르니 제동거리가 늘어날 것이고 더 긴 활주로가 필요할 것이다. 만약 항공기의 접근 속도(Approach Speed)를 작게 할 수 있다면 착륙에 필요한 활주거리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속도가 작아지면 양력이 작아지니 Flap을 Extend 하여 작아진 양력을 보상해 주는 것이다.
- Flap은 날개의 Camber를 증가시켜 CL(양력 계수)을 커지게 만든다. 양력 공식 중 CL이 커지면 양력이 커지게 된다. 아래 그래프는 동일한 AOA에서 Flap을 Extend 하였을 때 커지는 CL을 그래프화 한 것이다. Flap의 종류에 따라 Camber뿐만 아니라 날개의 면적을 커지게 하여 양력을 증가시키는 Flap도 있다. Flap의 종류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자.
출처 : Jeppesen JAA ATPL - Principles of Flight - 한번 비행을 하면 Flap 조작은 항상 한다고 보면 된다. 비행을 하면서 Flap을 올렸다 내렸다 하면 항공기 Pitch가 늘리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이 부분은 Flap을 Extend 하게 되면 CP(Center of Pressure)의 위치가 바뀌게 되고 CG와 CP의 거리가 변하면서 Pitching Moment 변화로 Pitch가 들렸다가 내렸다가 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같이 다루자.
반응형
'항공지식 > 비행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조종은 어떻게 할까? - Flap의 종류(6) (0) | 2022.02.06 |
---|---|
항공기 조종은 어떻게 할까? - Flap 효과(5) (0) | 2022.02.04 |
항공기 조종은 어떻게 할까? - Aerodynamic Balance(3) (0) | 2022.01.28 |
항공기 조종은 어떻게 할까? - Adverse Yaw(2) (0) | 2022.01.26 |
항공기 조종은 어떻게 할까? - Flight Control(1) (0) | 2022.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