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플레이션은 왜 발생하지?
지금 전세계가 인플레이션 억제에 초점을 맞춰 통화정책을 바꿔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을 알겠는데 그러면 왜 물가가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걸까? 일단 인플레이션의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의 종류부터 알 필요가 있다.
인플레이션의 종류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하는데 차근 차근 살펴보자.
- 경기가 호황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사람들의 소비가 늘어나게 된다. 물건이 잘 팔리니 회사 입장에서는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늘릴 것이다. 그러면 사람들의 주머니가 더 두둑해지고 소비가 더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면 회사는 투자를 더 늘리고… 이런 선순환 과정이 발생하고 이것을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은 느낌적으로 아시겠지만 경제에 좋은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하는데 차근 차근 살펴보자.
-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
- 제품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증가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다.
- 이번에는 경기는 그저 그렇다고 가정하자. 회사 가는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비용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한 비용을 제품 비용에 전가하여 회사의 이익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러면 제품 가격이 상승하게 될 것이고 사람들의 주머니 사정은 비슷한데 물가가 오르면 어떻게 되겠는가? 사람들은 소비를 줄이게 될 것이다. 이렇게 소비가 증가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이 아닌 다른 요인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한 것을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이며 좋지 않은 인플레이션이다.
- 비용을 상승하게 만드는 요인은 다양하다. 유가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 임금 상승 등을 꼽을 수 있다.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제품을 생산하는데 비용이 늘어가게 되고 임금 또한 제품을 만드는데 월급을 많이 줘야 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 제품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증가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다.
- 기대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의 종류라고 할 수는 없지만 최근 기대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고 중앙은행이 이야기했다는 뉴스를 볼 수 있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무엇일까?
- 만약 자동차를 새로 구매해야 한다고 가정해 보자. 만약 지금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는 중이라 한 달 뒤 자동차 가격이 비싸질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해지면 어떻게 될까?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을 기대하여 어차피 살 것이라면 소비를 당겨서 조금 더 저렴할 때 구매하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기대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며 이 또한 물가 상승의 원인이다.
- 인플레이션의 종류라고 할 수는 없지만 최근 기대 인플레이션을 잡겠다고 중앙은행이 이야기했다는 뉴스를 볼 수 있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무엇일까?
현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 어느 하나의 인플레이션 때문에 지금 물가 상승이 일어나고 있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위에 소개한 모든 인플레이션이 섞여서 발생하고 있다고 본다.
- 현재 미국 고용시장은 완전 고용에 거의 다다르고 있다고 미연준이 발표했다. 또한 미국인들의 예금 잔액이 상당히 불어났다고 한다. 소비 여력은 아직 충분하기에 수요 견인이라고 볼 수도 있다.
- 또 다른 이유는 현재 고유가, 고 원자재 가격, 임금 상승이 맞물려진 비용 상승이 심하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슈, 중국-호주 석탄 수출 금지 등으로 에너지 가격이 엄청난 상승을 하였으며 이전 코로나로 미국에서는 일손 구하기가 힘들어 임금 상승이 일어났지만 상승된 임금은 쉽게 떨어지기 어렵다. 이 모든 것들이 물가를 상승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응형
'경제 > 경제 어린이(for 주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핫한 기축통화란 무엇인가? (0) | 2022.02.23 |
---|---|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는 무엇일까? (0) | 2022.02.21 |
FOMC는 무엇인가? (0) | 2022.02.15 |
요즘 난리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무엇일까? - 인플레이션(1) (0) | 2022.02.11 |
왜 우리가 Fed의 결정에 귀기울여야하나? - FOMC 회의 (0) | 2022.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