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지식/기상

기상학 - 위험한 구름에 대해(4)

by #*%&$*@ 2022. 8. 29.
반응형

름은 언제 생기는 걸까?

  • 름은 언제 생기게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우 간단한 것부터 복잡한 것을 추가해가며 이야기해 보. 대기에 Moisture 하나도 없다고정해 보자. 이 글에서 알아봤듯이 공기는변보다 온도가 높으면 상승을 한다고 했다. 지상에서 상승을작한 A라 공기는 온도와 같아지는점까지 상승을 것이다. 그러다가 주 온도가 같아지고 오히려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하강을 것이다. 이것을렵게 표현하 상승을작한 A 온도는 DALR 온도가 감소한다. 그러다 ELR 같아지는점인 X에서 상승을 멈출 것이다.
    출처 : JAA ATPL Meteorology
    .
  • 하지만 지구에 있는 대기는 Moisture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공기가 상승하다가 온도가 낮아지면 포화상태가 되고 그 후부터는 SALR로 온도가 감소한다고 했다. 이제 그 부분을 알아보자. 다시 지상에서 A 공기가 상승을 시작했다고 하자. A 공기는 DALR로 온도가 감소를 하고 Dew point 또한 0.5도씩 감소를 시작한다. 그러다가 A 공기가 ELR과 먼저 만나 상승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Dew point와 먼저 만나게 되면 A 공기는 포화상태로 되어 A 공기 내에 있던 Moisture가 물이나 ice로 변하면서 구름을 형성하게 된다. DALR과 Dew Point가 만나는 시점을 Condensation Level이라고 하며 이 높이가 Cloud Base가 된다. 이 높이부터는 A 공기는 SALR로 온도가 감소하다가 ELR과 만나 상승을 멈추거나 더 이상 Moisture가 포함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될 때까지 구름을 생성하며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다.
  • DALR은 3도씩 감소하며 Dew Point는 0.5도씩 감소하는 것을 통해 Cloud Base가 어느 높이에서 형성될지를 계산할 수 있다.

출처 :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Meteorology
출처 : JAA ATPL Meteorology

온도에 Cloud Top 달라진다?

  • 지상의 온도는 구름 생성에 큰 영향을 준다. 그 이유에 대해 알기 위해 Critical Temperature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아침에 해가 뜨면 지표면의 온도는 태양열에 의해 조금씩 올라가게 된다. 먼저 아침 7시일 때 지표면의 온도가 7도였다고 해보자. 이때 공기가 상승을 시작했다고 가정하면 DALR로 온도가 하강하다가 Dew Point에 도달하기 전에 ELR과 먼저 만나게 된다. 이 문장의 의미를 조금 더 풀어서 이야기하면 공기는 상승을 하다 포화상태가 되기 전에 주변 공기와 온도가 같아지며 더 이상 상승을 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화상태가 되기 전에 상승을 멈추었으니 구름을 생성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면 이번에 아침 9시를 보자. 아침 9시에 지표면 온도는 10도이다. 공기가 상승을 시작하여 DALR로 온도가 감소하다 보면 Dew Point와 ELR을 같이 만나게 된다. 이때부터 공기가 포화상태가 되며 구름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온도를 Critical Temperature라고 한다.
    출처 :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Meteorology
    .
  • 아래 그래프에 나와있듯이름을 생성하기작한 공기는 SALR 온도가 감소하다가 ELR 만나는점에서 상승을 멈추게 되고 Cloud Top 형성하게 된다. 지표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ELR 만나는 높이가 올라가서 Cloud Top 높게 형성되는 것을 있다.

출처 :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Meteorolog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