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상학 - 바람(Wind)은 왜 불까?(4)

by #*%&$*@ 2022. 11. 17.
반응형

Upper Wind

  • 지금까지 바람이 어떤 힘에 의해 불게 되는지 알아보았고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 부는 Local Wind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Upper Wind에 대해 같이 알아보자. 고 고도에 부는 바람 또한 항공기가 순항을 할 때 상당히 중요한 부분에 해당한다. Upper Wind 또한 지난 글에서 다루었던 Pressure Gradient Force(PGF), Coriolis Force, Centrifugal Force가 그대로 적용된다. 하지만 Upper Wind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Thermal Wind, Air 밀도 하락이라는 다른 요소가 있다.

Thermal Wind

  • Thermal Wind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지표면의 온도가 높은 곳과 낮은 곳의 Air 분포를 잠깐 비교해 보면 Air 온도가 낮은 곳은 Air의 밀도가 커서 지표면으로 모여있는 형태를 띤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으면 더 높은 곳까지 Air가 퍼져있는 상태가 된다. 이 뜻은 만약 같은 고도라고 하더라도 온도가 높은 곳이 더 기압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서로 다른 두 지역의 18,000ft에 있는 대기압을 측정해 본다고 하자. 18,000ft에서 온도가 높은 곳의 대기압이 더 높게 측정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18,000ft에서 온도가 높은 지역이 고기압이 된다.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가는 PGF에 의해 Thermal Wind가 발생하게 된다.
    출처 :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Meteorology
  • Air 밀도 또한 풍속에 큰 영향이 있다. 고도가 증가하면 Air 밀도가 감소한다. 풍속을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은데 분모에 Air 밀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Air 밀도가 작아지면 풍속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지상보다 고 고도에서는 더 강한 바람이 불게 된다.
  • Thermal Wind를 지구에 적용해 보면 가장 뜨거운 적도 부근에서 상승한 Air가 고 고도에서 고기압을 형성하게 되고 극지방으로 이동하다가 Coriolis Force에 의해 우측으로 휘어지며 바람이 불게 된다. 이렇게 되어 고 고도에는 강한 서풍이 불게 되는데 이것을 편서풍이라고 한다.

출처 : CAE Oxford Aviation Academy - Meteorology

반응형

댓글